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5월 1주차(5.5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자료를 살펴보면, 서울 아파트 시장은 매매가격이 0.08% 상승하고 전세가격은 0.0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아파트 시장이 매매가격 -0.01%, 전세가격 0.00%를 기록한 것과 비교할 때 여전히 상대적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매매시장 동향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은 전주(0.09%) 대비 상승폭이 다소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0.08%의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강남 11개구가 0.10%로 강북 14개구(0.05%)보다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강북 14개구 분석
강북 14개구에서는 성동구와 마포구가 각각 0.18%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성동구는 행당동과 금호동의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마포구는 아현동과 대흥동을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용산구도 0.14%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는데, 이촌동과 한강로동의 주요 단지들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광진구(0.05%)와 중구(0.04%)도 각각 광장동·자양동과 신당동·황학동을 중심으로 상승했다.
강남 11개구 분석
강남 11개구에서는 서초구가 0.19%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잠원동과 반포동의 재건축 추진 단지들이 상승세를 주도했다. 양천구와 강남구는 각각 0.15%의 상승률을 기록했는데, 양천구는 목동과 신정동, 강남구는 대치동과 압구정동 중심으로 상승했다. 동작구(0.12%)와 송파구(0.12%)도 각각 상도동·사당동의 준신축 아파트와 잠실동·송파동의 인기 단지들이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전세시장 동향
서울 아파트 전세시장은 지난주와 동일한 0.03% 상승률을 유지했다. 전세시장 역시 강남 11개구(0.04%)가 강북 14개구(0.02%)보다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강북 14개구 전세 동향
강북 14개구 중에서는 강북구(-0.02%)가 미아동과 수유동을 중심으로 하락했으나, 용산구(0.06%)는 이촌동과 도원동의 주요 단지들이 상승세를 보였다. 광진구(0.04%)는 구의동과 광장동, 노원구(0.03%)는 중계동과 하계동의 역세권 단지들이, 은평구(0.03%)는 불광동과 진관동을 중심으로 전세가격이 상승했다.
강남 11개구 전세 동향
강남 11개구 중에서는 서초구(-0.03%)가 잠원동과 서초동을 중심으로 하락했으나, 강동구(0.12%)가 둔촌동과 고덕동의 대단지를 중심으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강남구(0.07%)는 압구정동과 역삼동의 주요 단지들이, 영등포구(0.06%)는 대림동과 여의도동의 역세권 단지들이 전세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시장 동향 분석
서울 아파트 시장은 매매와 전세 모두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일부 지역과 단지에서는 시장 참여자들의 관망세가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매매시장에서는 재건축과 역세권 단지 등 선호도가 높은 단지를 중심으로 계약이 체결되고 있으며, 매도 희망 가격도 상승하는 추세다.
전세시장 역시 정주 여건이 양호한 역세권과 신축, 대단지 위주로 임차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면서 상승 계약이 체결되고 있다. 다만 일부 입주 영향이 있는 지역과 구축 단지에서는 전세가격 하락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단지별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망 및 시사점
서울 아파트 시장은 당분간 재건축과 역세권 단지 중심의 선별적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2025년 상반기 들어 서울 지역의 주택가격은 수도권 및 지방과의 격차를 더욱 벌리는 모습이다. 이는 서울 중심의 수요는 여전히 견조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특히 강남권과 재건축 단지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황이다.
다만 일부 지역에서 관망세가 확대되는 현상은 향후 금리 및 정책 변화에 따라 시장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입주물량 증가가 예상되는 지역에서는 전세가격 하락 압력이 있을 수 있어, 지역과 단지별 선별적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강남권과 강북권, 재건축과 비재건축, 역세권과 외곽 지역 등 세부 시장별로 차별화된 가격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투자자와 실수요자 모두 세부 지역과 단지별 특성을 면밀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부동산원의 이번 주간 동향 자료는 서울 아파트 시장이 전국적인 하락세 속에서도 견조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특히 강남 11개구의 상승 모멘텀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Real Estates > Scr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5월 1주차 인천 아파트 시장 분석: 보합 전환된 전세시장과 여전한 매매시장 하락세 (0) | 2025.05.09 |
---|---|
2025년 5월 1주차 경기 아파트 시장 분석: 하락폭 축소 속 지역별 뚜렷한 양극화 현상 (0) | 2025.05.09 |
2025년 5월 1주차 전국 아파트 시장 분석: 매매가격 하락세 지속, 전세시장 보합세 유지 (0) | 2025.05.09 |
2025년 4월 용인 부동산 시장 분석 (0) | 2025.05.01 |
2025년 4월 시흥 부동산 시장 분석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