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umanities 17

교부철학, 스콜라철학, 신비주의의 관계: 서양 기독교 사상의 세 흐름

기독교 역사에서 발전한 교부철학, 스콜라철학, 그리고 신비주의는 각기 다른 시기와 맥락에서 형성되었지만,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며 기독교 사상의 풍요로운 스펙트럼을 형성했다. 이들은 단순히 시대적으로 연속된 흐름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때로는 보완하고 때로는 긴장 관계를 이루며 발전해왔다. 이 세 사상적 흐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살펴보자.1. 역사적 발전과 연속성교부철학의 태동과 발전교부철학은 1세기부터 8세기까지 초기 기독교 교부들(Church Fathers)에 의해 발전된 철학적 사유 체계로, 신앙과 이성의 관계를 정립하는 첫 시도였다. 이 시기 기독교는 로마 제국의 박해에서 벗어나 공식 종교로 인정받았고, 신학적 기반을 확립해야 했다.주요 교부들 중 동방의 오리게네스, 서방의 아우구스..

Humanities 2025.04.02

라이프니츠의 자연신학: 합리주의와 신앙의 조화로운 만남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Leibniz, 1646-1716)는 근대 합리주의 철학을 대표하는 사상가로, 그의 자연신학은 이성적 사유를 통해 신의 존재와 본성을 설명하려는 독특한 시도였다. 수학, 물리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그는 당시 과학의 발전으로 도전받던 종교적 세계관을 합리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했다. 라이프니츠의 자연신학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그의 철학 체계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 살펴보자.충분 이유율: 모든 존재의 근거로서의 신라이프니츠 철학의 핵심 원리 중 하나는 '충분 이유율'(Principle of Sufficient Reason)이다. 이 원리에 따르면 "세상에 일어나는 모든 일이나 존재하는 모든 것에는 반드시 그것이 그렇게 될 충분한 ..

Humanities 2025.03.30

철학개론 15. 현대 철학의 동향과 결론

20세기 중후반을 거쳐 21세기에 이르기까지, 철학은 분석철학과 대륙철학을 중심으로 급속히 전문화·세분화되었다. 동시에 다양한 학문 분야와 결합하여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는 융합적 경향도 두드러진다. 포스트휴머니즘, 인공지능(AI), 환경윤리, 젠더 이슈 등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들을 철학적 시각에서 해석·비판하고 대안을 모색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이번 15회차에서는 현대 철학이 어떤 흐름 속에서 전개되고 있는지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오늘날 철학적 사고가 우리의 실존과 사회에 주는 의미를 정리한다.1. 분석철학과 대륙철학의 교류(1) 주제 확장과 융합20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영미권 분석철학과 유럽 대륙철학 사이에는 뚜렷한 경계가 존재했다. 분석철학은 언어, 논리, 개념 분석에 치중했고, 대륙철학은 ..

Humanities 2025.03.20

철학개론 14. 20세기 대륙철학 – 현상학, 실존주의, 구조주의, 포스트모더니즘

20세기 유럽 대륙에서는 영미권 분석철학과는 다른 독특한 철학적 흐름이 전개되었다. '대륙철학(Continental Philosophy)'으로 통칭되는 이 사조는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을 중심으로 기존의 형이상학, 근대적 주체론, 과학주의에 대한 다양한 도전을 시도했다. 특히 현상학, 실존주의, 구조주의, 포스트모더니즘은 20세기 대륙철학의 핵심 흐름으로 평가된다. 이번 강의에서는 이 네 가지 철학적 조류의 주요 특징과 의의를 살펴본다.1. 현상학(Phenomenology)(1) 에드문트 후설의 시도에드문트 후설(1859-1938)은 『논리연구』(1900-1901), 『순수 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아이디어들』(1913) 등의 저작을 통해 현상학을 체계화했다. 그는 철학이 '엄정한 학(strenge..

Humanities 2025.03.20

철학개론 13. 20세기 분석철학 – 러셀, 비트겐슈타인, 현대 논리학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영미권을 중심으로 '분석철학(Analytic Philosophy)'이라 불리는 새로운 흐름이 형성된다. 이는 전통적·체계적 형이상학에 대한 반발과 함께, 과학적 방법론과 현대 논리학을 철학 연구에 적극적으로 적용하려 한 움직임이었다. 특히 버트런드 러셀(Bertrand Russell),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 논리실증주의자들의 공헌이 두드러졌으며, 이들은 언어·논리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통해 철학적 문제를 재정의하고 해소하려 시도하였다. 이번 13회차에서는 분석철학의 주요 특징과 대표 인물, 현대 논리학의 발전 과정을 살펴본다.1. 분석철학의 형성 배경(1) 19세기 말 논리학 혁신고틀로프 프레게(Gottlob Frege), 주제페 페아노(Giu..

Humanities 2025.03.20

철학개론 12. 19세기 철학 2 – 마르크스, 키르케고르, 니체

19세기 후반 유럽은 산업혁명과 자본주의의 확산, 민족주의와 제국주의의 대두, 대중사회 형성 등으로 인해 격동의 시기를 맞이한다. 이 시점에서 이전의 관념론적·합리주의적 전통을 재검토하고, 인간의 사회적·실존적·가치적 문제를 새롭게 바라보려는 철학자들이 부상한다. 그중 대표적인 인물이 카를 마르크스(Karl Marx), 쇠렌 키르케고르(Søren Kierkegaard),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다. 이번 12회차에서는 이 세 사상가가 19세기 중·후반에 제기한 비판과 통찰을 살펴본다.1. 시대적 배경(1) 산업화와 자본주의영국을 시작으로 한 산업혁명은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대량생산 체제가 보편화되며 자본주의가 심화된다. 19세기 중반에 이르면 증기기관, 철도, 공장 시스..

Humanities 2025.03.20

철학개론 11. 19세기 철학 1 – 헤겔과 쇼펜하우어

18세기 말 칸트로부터 시작된 독일 관념론은 피히테와 셸링을 거쳐, 헤겔의 방대한 체계 속에서 정점을 맞이한다. 그러나 19세기 철학은 단순히 관념론에 머무르지 않고, 쇼펜하우어처럼 염세적·비관적 세계관을 제시하는 흐름도 등장한다. 이번 11회차에서는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과 아르투어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의 사상을 중심으로 19세기 철학의 다양성을 살펴본다.1. 시대적 배경(1) 프랑스 혁명과 근대 시민사회1789년 프랑스 혁명 이후 유럽은 정치·사회 구조가 급변한다. '자유, 평등, 박애'라는 계몽주의 이상이 현실화되면서, 인간 이성과 역사 발전에 대한 낙관론이 힘을 얻는다. 프랑스 혁명은 단순한 정치적 사건을 ..

Humanities 2025.03.20

철학개론 10. 칸트와 독일 관념론

근대 철학은 대륙 합리론과 영국 경험주의의 대립을 거치면서, "인간이 어떻게 지식을 얻고 그 지식은 어디까지 확실한가?"라는 인식론적 문제를 핵심 과제로 삼는다. 이런 흐름 속에서 가장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한 인물이 이마누엘 칸트(Immanuel Kant)이며, 그는 합리론과 경험주의의 모순을 종합하고자 시도한다. 이후 피히테, 셸링, 헤겔 등으로 이어지는 독일 관념론(German Idealism)은 칸트가 제시한 비판 철학(Critical Philosophy)을 출발점으로 삼아, 인간 이성과 세계의 본질을 거대한 체계로 구축해 나간다. 이번 10회차에서는 칸트의 핵심 사상과 독일 관념론의 흐름을 살펴본다.1. 칸트의 철학적 배경(1) 데이비드 흄의 영향칸트는 데이비드 흄의 회의주의가 합리론·경험주의의 ..

Humanities 2025.03.20

철학개론 9. 근대 철학 2 – 영국 경험주의

대륙 합리론(Continental Rationalism)이 이성을 지식의 근본 원천으로 삼았다면, 영국에서는 이에 대립되는 '경험주의(Empiricism)'가 태동한다. 경험주의자들은 인간이 지식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감각적 경험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강조한다. 존 로크(John Locke), 조지 버클리(George Berkeley), 데이비드 흄(David Hume)은 경험주의의 대표적 사상가들로 꼽히며, 이들은 근대 철학사의 또 다른 큰 축을 형성한다. 1. 배경과 주요 문제의식(1) 영국 사회·문화적 배경영국은 17~18세기에 걸쳐 근본적인 정치적·종교적 변화를 겪는다. 1642년부터 1651년까지 이어진 내전과 1688년 명예혁명은 영국 사회의 정치적 지형을 변화시켰으며, 절대왕정에서 입헌군주..

Humanities 2025.03.19

철학개론 8. 르네상스와 근대 철학 1 –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철학개론 8. 르네상스와 근대 철학 1 –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중세가 저물고 르네상스(Renaissance)와 근대(Modern) 시대로 넘어가면서 서양 철학에는 이성(理性)을 중시하는 새로운 흐름이 형성된다. 과학혁명과 함께 전통적인 신학 중심의 세계관이 흔들리고, 자율적 인간과 합리적 사고가 부상한다. 그중에서도 대륙 합리론(Continental Rationalism)은 "이성만이 참된 지식의 근원"이라고 주장하며 근대 철학사를 연다. 이번 8회차에서는 합리론의 대표적 사상가인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의 주요 개념과 이론을 살펴본다.1. 르네상스와 근대의 배경(1) 르네상스 인문주의14~16세기에 걸쳐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꽃핀 르네상스는 '인간 중심적 세계관'을 드러낸다. '르네상스..

Humanities 2025.03.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