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l Estates/Scrap

2025년 4월 용인 부동산 시장 분석

Archiver for Everything 2025. 5. 1. 16:04
반응형

개요

2025년 4월 용인시 아파트 매매가격은 주간 등락을 거듭하면서도 월간 누적 +0.04%의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주요 교통 인프라 개발 호재와 정부의 금리 안정화 기조가 맞물리면서 발생한 결과로 판단된다. 구별로는 수지구의 강세가 두드러졌으며, 처인구와 기흥구는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이는 등 권역별 양극화 현상이 확인되었다.

용인시 전체 동향

주차별 변동률

  • 1주차(4월 7일): +0.02%
  • 2주차(4월 14일): -0.01%
  • 3주차(4월 21일): +0.05%
  • 4주차(4월 28일): -0.02%

누적 변동률: +0.04%

용인시 전체적으로는 2주차와 4주차에 소폭 조정이 있었으나, 3주차에 보인 강세(+0.05%)가 전체 상승세를 견인했다. 특히 교통 인프라 호재(GTX, 신분당선 연장 등)에 대한 기대감과 금리 동결 기조가 지속되면서 매수심리가 일부 회복된 것으로 분석된다.

구별 분석

1. 수지구

주차별 변동률

  • 1주차: +0.07%
  • 2주차: +0.02%
  • 3주차: +0.14%
  • 4주차: +0.08%

누적 변동률: +0.31%

수지구는 용인시 내에서 가장 강한 상승세를 보였으며, 특히 3주차에 두드러진 상승(+0.14%)을 기록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 교통 인프라 개선: GTX-A 노선 개통(동천역, 광교역)과 신분당선 호매실 연장 예정으로 인한 서울 접근성 강화
  • 학군 프리미엄: 강남권 학군과 비교되는 우수한 교육환경이 실수요자 유입을 촉진
  • 역세권 인기: 풍덕천동과 상현동 위주로 역세권 단지들의 매매가 상승세가 두드러짐
  • 생활 인프라: 광교·분당과의 상권 연계 강화로 편의시설 접근성 향상

특히 4월 전체에 걸쳐 모든 주차에서 상승세를 유지한 유일한 구역으로, 향후에도 안정적인 상승 흐름이 예상된다.

2. 기흥구

주차별 변동률

  • 1주차: -0.02%
  • 2주차: -0.07%
  • 3주차: -0.02%
  • 4주차: -0.09%

누적 변동률: -0.20%

기흥구는 4월 내내 하락세를 보이며 누적 -0.20%를 기록했다. 주요 요인으로는:

  • 신규 공급 압박: 구성지구 일대 신규 아파트 공급 물량 증가로 인한 가격 조정
  • 구축 아파트 선호도 하락: 20년 이상 경과한 구축 아파트의 노후화 우려가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
  • 재건축 불확실성: 영통·신갈동 일대 재건축 사업의 지연으로 인한 투자심리 위축

다만, SK하이닉스 반도체 클러스터 개발과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확장 등 산업 인프라 확충이 진행 중인 만큼, 향후 장기적 관점에서는 회복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3. 처인구

주차별 변동률

  • 1주차: +0.01%
  • 2주차: -0.04%
  • 3주차: -0.01%
  • 4주차: -0.09%

누적 변동률: -0.13%

처인구는 1주차 소폭 상승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였으며, 특히 4주차에 가장 큰 하락폭(-0.09%)을 기록했다. 처인구의 부진 요인은 다음과 같다:

  • 교통 인프라 상대적 열위: 수지·기흥 대비 서울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리적 한계
  • 산업단지 개발 지연: 용인 플랫폼시티 개발 지연으로 인한 기대감 약화
  • 투자수요 감소: 금리 인상 기조 이후 투자목적 매수세가 크게 위축

다만, 공도읍과 당왕동 지역은 대규모 입주 물량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어, 이 지역을 제외한 구시가지 지역은 상대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전망

단기(2025년 5~6월)

  • 수지구: GTX-A 개통 효과 본격화로 0.1~0.2% 수준의 상승세 지속 전망
  • 기흥구: 반도체 클러스터 개발 진행에 따라 -0.1~0% 수준으로 하락폭 축소 예상
  • 처인구: 플랫폼시티 진행 상황에 따라 변동성이 있으나, -0.1~0% 수준 예상

중장기(2025년 하반기~2026년)

  • 수지구: 교통·생활 인프라 개선 지속으로 연 3~5% 수준의 안정적 상승 예상
  • 기흥구: 하반기부터 산업 인프라 효과 가시화되며 점진적 회복 기대
  • 처인구: 플랫폼시티 진행 상황과 정부 정책에 따라 변동성 지속 예상

시사점

  1. 지역별 선별 투자: 용인시 내에서도 구별·동별 차별화가 뚜렷해지고 있어, 교통 호재와 생활 인프라가 잘 갖춰진 수지구 중심의 선별적 접근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2. 환금성 고려: 거래량이 제한적인 상황에서는 역세권·학군 등 환금성이 높은 단지 위주로 접근하는 것이 안전하다.
  3. 장기 보유 관점: 단기적 등락보다는 GTX, 반도체 클러스터, 플랫폼시티 등 중장기 개발 호재를 고려한 투자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5월에는 이사철 효과 감소와 금리 불확실성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으나, 용인시의 우수한 정주여건과 지속적인 인프라 개선을 고려할 때 중장기적으로는 안정적인 성장세가 예상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