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요 동향 요약
2025년 4월 시흥시 부동산 시장은 완만한 상승세를 보인다. 전국 및 수도권의 저조한 변동 속에서도 상대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유지한다.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시흥시는 4월 한 달간 매매가격이 누적 +0.09%를 기록한다. 특히 4월 중순까지 보합권을 유지하다가 4월 말부터 상승폭이 확대되는 패턴이 두드러진다.
매매시장 분석
주간 변동률 추이
- 4월 1주(4.7일): +0.01% (시흥·정왕동 위주)
- 4월 2주(4.14일): +0.02% (배곧신도시 위주)
- 4월 3주(4.21일): 0.00% (보합)
- 4월 4주(4.28일): +0.06% (배곧·은행동 위주)
4월 동안 시흥시는 총 +0.09% 누적 상승을 기록한다. 특히 4월 말로 갈수록 상승세가 강화되는 모습이 특징적이다. 이는 배곧신도시 개발 기대감과 금리 안정화 전망이 시장에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상승 요인
- 배곧신도시 개발 기대감: 서울대병원·R&D센터 착공 지연에도 불구하고 장기적 투자 수요 유지
- 금리 안정화 전망: 한국은행의 제한적 통화 긴축 기조로 주택담보대출 금리 안정화 기대
- 교통 인프라 확충: 소사~원시선 개통 등 교통 호재 기대감
- 서울 접근성: 수도권 외곽임에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주거 비용과 개선되는 서울 접근성
전국 및 수도권 비교
-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4월 셋째 주(4.21 기준) −0.01% 하락세
- 수도권 주택가격 지수: 2025년 2월 기준 +1.68%(전년 동월 대비)
- 경기도 주택가격 지수: 2025년 2월 기준 +0.32%(전년 동월 대비)
시흥시는 수도권 전체의 강세보다는 다소 약하지만, 전국 및 경기도 평균보다는 양호한 상승세를 보인다.
지역별 분석
호조 지역
- 배곧신도시: 서울대병원 및 R&D센터 건립 기대감에 따른 투자 수요 유입으로 상승세 주도
- 은행동: 생활 인프라 개선과 교통망 확충 기대로 상승
정체 지역
- 정왕동: 노후 단지 중심으로 상대적 약세
- 과거 개발 지역: 신규 개발 지역으로의 수요 분산으로 약세
개발 호재 및 인프라 현황
주요 개발 계획
- 배곧신도시 내 서울대병원·연구센터: 착공 지연에도 불구하고 장기적 투자 가치 유지
- 소사~원시선 개통: 교통 인프라 개선에 따른 서울 접근성 강화
- 시화MTV 개발 진행: 산업 및 일자리 확충에 따른 실수요 기반 형성
미래 가치 요소
- 배곧신도시 주요 시설 완공(2026년 이후) 시점 전후 추가 상승 모멘텀 기대
- 서울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대체 수요 유입 가능성
전망 및 투자 전략
단기 전망
- 5월에도 소사~원시선 개통 등 교통 인프라 호재가 현실화되면 주간 0.1% 안팎의 안정적 상승세 지속 예상
- 배곧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외국인 투자 수요도 점진적 증가 전망
중장기 전망
- 배곧신도시 주요 시설 완공 시점(2026년 이후)을 전후로 추가 상승 모멘텀 기대
- 다만, 금리 인상 리스크와 공급 확대로 조정 가능성도 병존
-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정책 및 세제 강화 기조가 이어질 경우 투자 심리 위축 요인으로 작용 가능성
투자 전략
- 단기: 배곧신도시 및 교통 호재 인접 지역 중심의 선별적 접근
- 중장기: 개발 호재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중장기 실거주 목적의 접근 유효
- 매매 vs 전세: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매매시장을 고려할 때, 전세보다는 매매 중심 접근이 유리할 수 있음
시사점
시흥시 부동산 시장은 수도권 내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배곧신도시 개발 기대감과 교통 인프라 확충이 시장 하방을 지지하고 있으며, 향후 개발 계획 진행에 따라 추가 상승 여력도 존재한다. 다만, 정부 정책 및 금리 변동 등 외부 변수에 따른 리스크 관리도 필요한 시점이다.
728x90
반응형
'Real Estates > Scr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5월 1주차 전국 아파트 시장 분석: 매매가격 하락세 지속, 전세시장 보합세 유지 (0) | 2025.05.09 |
---|---|
2025년 4월 용인 부동산 시장 분석 (0) | 2025.05.01 |
2025년 4월 안성 부동산 시장 분석 (0) | 2025.05.01 |
2025년 4월 과천 부동산 시장 분석 (0) | 2025.05.01 |
2025년 4월 4주차 제주 아파트 시장 분석: 매매·전세가격 동반 하락세 지속 (1)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