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2024 스탠퍼드 AI 지수 보고서 분석: 미국과 중국, AI 패권 경쟁의 현재와 미래

Archiver for Everything 2025. 4. 8. 03:18
반응형

1. 서론: AI 패권 경쟁, 더 이상 미국의 독주는 없다

인공지능은 이제 단순한 기술 발전을 넘어 국가 경쟁력과 안보, 경제의 핵심 축이 되었다. 스탠퍼드 대학교가 발표한 2024 AI 지수 보고서는 미국이 여전히 선두를 지키고 있지만, 중국이 그 격차를 빠르게 줄이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보고서는 국가 간 경쟁뿐만 아니라, 오픈AI·구글·메타·안트로픽 등 주요 기술 기업 간 경쟁이 AI 혁신을 견인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2. 미국 vs 중국: AI 모델 생산 경쟁

미국의 주도 유지

  • 2024년 미국은 40개의 주목할 만한 AI 모델을 생산하며 여전히 양적 우위를 점하고 있다.
  • 그러나 이는 2023년 61개에서 감소한 수치로, 양적 성장세는 둔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중국의 빠른 추격

  • 중국은 2023년과 동일하게 15개의 모델을 생산했으나, 품질 개선이 뚜렷하다.
  • 대표적 성과로는 딥시크(DeepSeek) v3, 훈위안-라지(Hunyuan-Large) 모델이 글로벌 벤치마크에서 높은 성능을 기록했다.

 

연도 국가 주목할 만한 AI 모델 수
2023 미국 61
2023 중국 15
2024 미국 40
2024 중국 15

3. 성능 격차는 점점 줄어드는 중

Chatbot Arena 벤치마크

  • 중국 모델의 성능은 2024년 초 미국 대비 9.3% 낮았지만, 2025년 초에는 1.7% 차이로 줄어듦.
  • 이는 중국이 질적 개선에 집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허와 논문에서도 강세

  • 중국은 전 세계 AI 특허의 약 69.7%, 컴퓨터 과학 논문 23.2%를 차지하며 연구 기반에서도 빠르게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4. 중국의 전략: 효율성과 오픈소스로 승부

1) 비용 효율성

  • 딥시크 R1, 딥시 V2 등의 모델은 비용 대비 성능 최적화에 강점을 보인다.

2) 오픈소스 중심 전략

  • 중국은 미국보다 더 공격적으로 오픈소스 AI 생태계를 확대하고 있으며, 글로벌 AI 커뮤니티에서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5. 미국의 강점: 자본과 기술 혁신

  • 2024년 미국은 AI에 $109.1 billion(약 145조 원)을 투자, 중국($9.3 billion)의 12배 규모.
  • 오픈AI, Google DeepMind, Anthropic 등 기술 중심 스타트업과 빅테크가 지속적으로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6. 결론: AI 경쟁은 국가 vs 국가, 그리고 기업 vs 기업

스탠퍼드 AI 보고서는 국가 간 경쟁과 기업 간 경쟁이 동시에 격화되고 있음을 경고한다. 특히 AI는 이제 단순 기술이 아니라, 국가 안보, 디지털 주권, 산업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향후 관전 포인트

  • 미국의 기술적 선도는 유지될 수 있을까?
  • 중국의 오픈소스 중심 전략은 어떤 글로벌 반향을 불러올까?
  • 유럽, 인도, 한국 등 제3의 AI 강국 후보들은 어떤 전략을 취할까?

📌 참고 링크

 

728x90
반응형